본문 바로가기

더 나은 생각97

솔직한 건 나쁘다. '인격'이라는 말은 라틴어 단어 '페르소나'에서 왔다. 페르소나는 '가면이라는 뜻이다. 남들 앞에서 우리는 누구나 가면을 쓴다. 그리고 여기에는 순기능이 있다. 만약 우리가 내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다 보여주고 속에 있는 말을 모조리 해버린다면 상처받을 사람이 한둘이 아니고 숨겨도 좋을 것들이 모두 드러날 것이다. 사실 페르소나를 만들어 내 역할을 잘 연기하는 것은 사람들이 우리를 너무 가까이 보지 못하게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남들이 코앞까지 와서 나를 들여다보고 있으면 얼마나 불안정한 기분이 들지 생각해 보라. 실제로 맡은 역할을 잘 연기하면 더 많은 힘이 생기고, 힘이 있으면 나의 기이한 면들까지 더 많이 표현해도 되는 자유가 생긴다. 그렇게 해나가다 보면 당신이 제시하는 페르소나가 당신의 수많은 개.. 2024. 10. 10.
나이가 든다는 것. 진짜 나에게만 집중하는 것이 가능한가? 40년을 살아오면서요즘에 들어서야 남 생각을 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와.. 그 긴 시간들을 말이다... 그렇게 남들 기준으로평균이란 허상으로나를 채우려고 부단히도 노력했었다.그 결과는 더이상 남들을 위해 살지 않겠다는 것이다.이제라도 처절히 깨달아서 다행이긴 하다만지나긴 시간들이 아까운 건 어쩔 수 없다. 진짜 나에게만 집중하려고 한다. 내가 진짜 좋아하는 것.내가 진짜 원하는 것.그걸 업으로 삼아 죽을때까지 신나게 일하는 것.내가 반한 사람들은 모두 그렇게 살고 있다.그들은 나이드는 것이 두렵지 않다.늙어가는 게 아니라 더 성숙해질 뿐이니까 내가 그렇게 살면내 두 아이들도 각자 자신들의 삶을 그렇게 살아야 한다는 걸 배우지 않을까 2024. 10. 9.
아들아. 너는 너고 나는 나. 7세 아들은 요즘 어린이집에서 주1회 하는 한글 받아쓰기 때문에무척이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아침마다 오늘 시험을 보는지 안 보는지 확인할 정도다. 엄마는 절대 미리 너를 준비시키지 않아.니가 먼저 필요하다고 생각되서 엄마한테 도와달라 요청하면그땐 널 도와줄 순 있어.니가 공부할 필요가 없다고 여기면 계속 빵점을 맞는 결과를 받아들여야 돼.그게 싫으면 공부하면 돼. 다른 친구 한명과 같이 유일하게 계속 빵점을 맞다가어제는 같이 공부하자고 말한다. 그래서 10개 중에 3개를 같이 공부했고결과는 4개를 맞아 왔다.얼굴 표정이 잔뜩 신이 났다. 한글은 원리를 알고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그림을 그리고 있다.그렇게 그리며 외워지는 게 신기할 정도다. 아들의 공부가, 숙제가엄마의 과제여선 안된다.오로지 본인의 몫이어.. 2024. 10. 8.
정지훈 그리고 임계점 임계점이 낮은 사람이 있다.임계점 자체가 사람마다 모두 기준이 다르지만내 기준에 5는 되어야 끓기 시작할 거라 생각하는데3만 돼도 충분하다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처음엔 의아했다.왜 3으로 충분하다 생각하지? 그러다 정지훈(비)의 쇼츠를 보고 알았다.요새 애들이 6시간, 9시간 연습했다고 해서 화제가 되잖아.난 좀 의아해.난 될때까지 했거든. 내 임계점조차 나보다 낮은 사람에 비해 조금 높을 뿐이미 성공한 사람들 기준에는 전혀 못 미친다는 것을. 임계점이 낮던 높던아무 문제가 안된다.단.내가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내가 정한 임계점에 만족하고 있기보다될 때까지 하고 있는 상태여야 한다는 것을. 계속하자.그냥 하자.될 때까지. 2024.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