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프레임에서 벗어나기53 초초초초 행운아. 이사를 오고 오랜만에 엄마가 왔다.내 생일과 남편 생일에 미역국을 끓여 준다며옥수수를 좋아하는 내게 맛있는 옥수수를 직접 쪄주겠다며 바리바리 싸가지고 오셨다. 근황 토크를 하면서옥수수를 다듬는 엄마를 바라본다.내가 이렇게 큰 사랑을 받고 컸구나..클 때는 왜 남들처럼 못해주냐며 불평, 불만 가득했는데엄마의 고단한 삶을 살고또 우리들까지 키워내고본인 나름의 최선을 다하셨음을40살이 돼서야 깨닫는다. 엄마의 넘치는 사랑을 받고 자란 나는엄청난 행운아다. 2024. 8. 12. 사는 게 재미있어지기 시작했다. 요즘 들어 법륜스님의 즉문즉설을 매일같이 챙겨본다.다양한 사연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다가법륜스님의 그 명쾌한 풀이에 엄청난 쾌감을 느꼈다. 종교는 없지만더 나은 인간이 되고 싶다는 강한 열망이 있다.그래서 매일을 수행의 관점으로 바라보면서그분의 말씀을 듣다 뇌리에 스친 것들을 내 일상에 적용한다. 사물을 한가지 관점으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면괴로울 일도 화가 날 일도 없다는 그분의 말씀이엄청난 희망으로 다가온다. '나'는 '나'를 절대 탈출할 수 없다.결국엔 '나'로 태어나 '나'로 죽는다.그렇다면 그 '나'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법륜스님 말씀을 들으며 힌트를 얻는다. 현재 내가 틀린 것이 중요한 게 아니다.그래서 '어떻게 할지'가 더 중요하다. 2024. 8. 8. '결핍'을 해결하는 단 한가지 방법 '결핍'이란 단어가 주는 부정적인 힘이 있다.모자란다.부족하다.허덕인다. 내 주위의 평균을 기준으로내 결핍을 채우려고 안달한다.그렇게 안달하고 조바심 낼수록더 채워지기 어려워진다. 오랜 시간을 나도 내 결핍에만 매몰되어그 매몰된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봤다.그 세상은 심하게 왜곡되어 있지만그 안에서만 살아가던 나는 왜곡조차 의심하지 않고정상으로 바라본다. 너도 나도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본 자신들만의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즐거우면 좋겠지만 모두들 괴로워하며 발버둥 친다. '결핍'을 다르게 보기 시작했다. 아빠 사랑을 받지 못했다는 것의 결핍을 정면으로 바라봤다.내가 원하는 수준의 아빠사랑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날 버린 것도 아니잖아.그 나름대로의 최선으로 날 키운 거라면 난 그의 최선을 인정해줘야 하지 않을까.. 2024. 8. 2. '열등감'을 풀어내는 최고의 방법 나에겐 열등감이 있다.내 20-30대를 제대로 살아보지 못하고 시간만 축낸 것.제대로 살지 못했다는 건두려움이 앞서서길 하나만 정해두고무서워서 그것만 했지만제대로 된 성취가 아니었다. 이것에 난 깊은 열등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얼마 전에 인정했다.그래서 찾기 시작했다.제대로 산 다는 건 무엇인가그게 성공인가?그막연함에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또 많이 헤매었다.헤매는 것이 헛됨이 아니라고 믿으며 또 찾고 실행한다. 난 죽는다.내일이 될 수도5일 뒤가 될 수도한 달 뒤가 될 수도일 년 뒤가 될 수도오 년 뒤가 될 수도때는 알 수 없다.죽는다는 진실만 안다. 이 진실이 눈앞에 닥친다면제대로 살지 못한 것을 가장 크게 후회할 거란 걸 알았다.제대로 살지 못한 한을 품은 채 귀신이 되려나 이 비극은 절대적으로 막.. 2024. 7. 14.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