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9

쉬운 길은 없다. 내가 보는 세상이 사실일까?나는 객관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나? 절대 아니다! 나는 내가 보는 해석의 틀이 있고그 틀에 맞추어서 세상 일을 해석한다.내가 가진 틀 이상을 절대 벗어날 수 없다. 그렇다면 큰 문제다.제대로 세상을 볼 수 없으니운의 영역으로 넘어가야 하나? 내 경험치를 벗어난 해석을 할 수 없다면난 내 경험을 넓혀야 한다.부지런히 매일매일.그래야 객관적 해석이 가능해지고해석이 맞아지기 시작하고맞는 해석을 내 일에 적용하면적중률이 높아지고그건 바로 수익으로 연결된다.그럼 좀 더 편하게 살고자 하는 방향으로 연결된다. 다른 길은 없다. 2024. 9. 4.
글로벌에서 쪽도 못쓰는 한국형 인재상에 대하여 젊은이들은 처음 시도에서 실패하면 낙담한다. 젊은 상인이 사업에 실패하면 사람들은 망했다고 말한다. 뛰어난 재주를 가진 절믄이가 대학에서 공부를 마치고 1년 이네에 보스턴이나 뉴욕의 대도시에서 취직하지 못해, 낙담한 채 불평한 하면서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도 친구들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뉴햄프셔나 버몬트 출신의 신체 단단한 청년이 여러 직업을 거치면서 운송 일을 하고, 농사짓고, 장사하고, 학교를 운영하고, 설교하고, 신문을 편집하고, 의회에 진출하고, 넓은 면적의 땅을 사들인다면, 그는 도시의 인형 같은 백 명보다 더 나은 사람이다. 그는 '전문직 공부'를 하지 않는 것에 전혀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다. 그는 자기 인생을 뒤로 미루지 않았고, 시대와 나란히 걸으면서 지금 이 순간을 성실하게 살아.. 2024. 9. 4.
반복 그리고 복리 지금은 드러내놓고 말할만한 나만의 무기가 있느냐라고 묻는다면이거야!라고 내놓을만한 게 없다.주입식 교육을 철저하게 받았고남들이 정해준 길을 가면 잘 살 거란 막연한 기대감으로 살아왔기 때문에 그런 방법이 내 길이 아니다란 확신이 선 순간다시 멘붕에 빠지길 반복하며이제는 조금씩 정리가 되기 시작한다.지금 당장 뚜렷한 것은 없지만나는 하나를 정하면 꾸준히는 한다는 것.이런 내 모습을 제대로 활용해야 겠구나!그런 나를 인정하고 방향을 제대로 잡아줘야겠구나.그렇게 지금을 하루를 내일을 반복해야겠구나. 남과 비교해 가며 나를 욕해봤자힘만 빠진다.결국 난 잘 살고 싶은 거잖아?그럼 날 잘 다독여가며 이끌어갈 일이다. 늦지 않았다.그렇게 나를 다듬어 간다.오늘도 내일도 2024. 9. 2.
인강을 아무리 들어도 점수가 오르지 않는 이유 유튜브에도 인스타그램에도각종 성공 방식과 명언들이 나온다.유독 내 알고리즘에 많이 노출되기도 할 것이다. 그 모든 것들은이미 그 방식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스토리를 담고 있다.그들을 닮고 싶은 열망에늘 꽉꽉 채워 넣고 보고 했다. 지금은그 모든 것들이 나에게 정답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그런 공식들을 정답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나만의 공식을 찾아야 하는 게 핵심이었다. 예를 들어유명한 강사의 인강을 아무리 들어도들은 수업의 내용을 내 것으로 내재화하지 않으면결코 점수를 올릴 수 없는 것과 같다. 단순한 원리였는데과도한 정보에 내가 해매고 있었다.훌륭한 명언을 이것저것 계속 읽는 것보다행동을 한번 더 해보는 거다.지속해 보고 그 과정에서 좀 더 나에게 맞게 변형한다. 마치 수집하듯 명언.. 2024. 8. 23.